본문 바로가기

PYTHON-BACK

#파이썬 28일차_MYSQL5

728x90

1.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Conceptual Data Modeling)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추상적으로 모델링하는 초기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특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종속되지 않는, 업무 중심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데이터 모델을 구축합니다.

  • 주요 작업: 엔티티(Entity)와 그 관계(Relationship)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데이터 구조를 파악합니다.
  • 산출물: 주제 영역, 주요 엔티티, 주요 속성(Attribute), 식별자(Identifier) 및 엔티티 간의 관계 등을 도출하여, 이를 개념적 스키마로 표현합니다.
  • ERD: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와 같은 다이어그램으로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2.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Logical Data Modeling)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은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구현을 염두에 두고, 개발에 사용될 특정 DBMS에 적합한 모델로 변환합니다.

  • 주요 작업:
    • 엔티티를 릴레이션(Relation)으로 변환: 각 엔티티는 하나의 테이블로 변환됩니다.
    • 관계 표현:
      • 일대일(1:1)일대다(1) 관계는 외래키(Foreign Key)로 표현합니다.
      • 다대다(N) 관계는 별도의 릴레이션(중간 테이블)으로 변환됩니다.
    • 식별 관계와 비식별 관계: 부모 릴레이션과 자식 릴레이션 간의 관계를 정의합니다. 식별 관계는 부모 릴레이션의 기본키가 자식 릴레이션의 기본키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이며, 비식별 관계는 부모 릴레이션의 기본키가 자식 릴레이션의 기본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3.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Physical Data Modeling)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은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실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맞게 구현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테이블 구조, 컬럼의 데이터 타입, 인덱스, 참조 무결성 등의 세부 사항을 결정합니다.

  • 주요 작업:
    • 테이블 설계: 기본키 컬럼 순서, 데이터 타입, 컬럼명 매핑 등을 결정합니다.
    • 제약조건 설정: 인덱스 생성, 참조 무결성 규칙 정의, 파티셔닝 등의 세부 사항을 정의합니다.
    • 저장 구조와 접근 경로 결정: 데이터 저장 방식과 데이터 접근 경로를 최적화합니다.

4. 구현, 유지보수, 검증 및 최적화

물리적 데이터 모델이 완성되면 이를 기반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운영하게 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운영 중에도 필요에 따라 모델을 조정하거나 확장하는 유지보수 작업이 이어집니다. 이 과정에서는 데이터 모델의 정확성, 일관성, 성능 등을 검증하고, 필요시 최적화를 진행합니다. 각 단계의 산출물을 문서화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Normalization)

1. 이상(Anomaly)

이상 현상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삽입, 삭제, 수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불일치나 오류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상 현상은 데이터베이스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고,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이상 현상은 주로 데이터 중복과 비정규화된 테이블 구조에서 발생합니다.

  • 삽입 이상(Insertion Anomaly):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할 때 불필요한 데이터를 반복해서 입력해야 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를 삽입하려면 관련 없는 데이터도 함께 입력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 삭제 이상(Deletion Anomaly): 데이터를 삭제할 때 발생하는 문제로, 한 레코드를 삭제하면 삭제할 필요가 없는 다른 정보도 함께 삭제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졸업했을 때 그 학생의 관련 데이터를 삭제하려다 보면 해당 학과의 정보도 같이 삭제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 수정 이상(Update Anomaly): 데이터를 수정할 때 테이블의 일부 레코드만 수정되어 데이터의 일관성이 깨지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한 속성 값이 여러 곳에 중복되어 있을 때 하나만 수정하고 나머지를 수정하지 않으면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이상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는 정규화를 통해 테이블 구조를 최적화해야 합니다.

2. 함수적 종속성(Functional Dependency, FD)

함수적 종속성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속성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한 속성의 값이 다른 속성의 값을 고유하게 결정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 정의: X → Y: 속성 X의 값이 주어지면 속성 Y의 값이 항상 유일하게 결정됩니다. 여기서 X는 결정자(Determinant), Y는 종속자(Dependent)입니다. 예를 들어,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X)이 주어지면 학생 이름(Y)이 유일하게 결정되는 경우, 학번은 학생 이름에 대한 결정자입니다.
  • 함수적 종속성 다이어그램(Functional Dependency Diagram, FDD): 함수적 종속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속성 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 다이어그램을 통해 어떤 속성이 다른 속성을 결정하는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함수적 종속성의 유형

  • 완전 함수적 종속성(Full Functional Dependency): 기본키가 아닌 속성들이 기본키에 종속이 되는 종속 관계입니다. 만일 기본키가 복합키인 경우에는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 집합에 종속되어야 합니다.
  • 부분 함수적 종속성(Partial Functional Dependency): 기본키가 아닌 속성들이 기본키의 일부에 종속되는 관계입니다.
  • 이행 함수적 종속성(Transitive Functional Dependency): 세 개 이상의 속성이 연결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 종속 관계입니다. X, Y, Z라는 3개의 속성이 있을 때 X → Y, Y → Z와 같이 속성 간에 종속성이 연쇄적으로 전파되는 경우입니다. Y가 X에 함수적으로 종속되고, Z가 Y에 함수적으로 종속되면, Z는 X에 대해 이행 함수적으로 종속됩니다.

4. 데이터베이스 정규화(Normalization)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중요한 개념으로, 이상을 제거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구조화하는 과정입니다. 정규화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조화하면 데이터 삽입 이상, 수정 이상, 삭제 이상이 최소화됩니다. 그 결과 데이터의 중복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 무결성을 강화하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가 좀 더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되므로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 효율적이며, 유지보수성이 향상됩니다.

  • 제1정규형(1NF): 테이블의 모든 속성이 원자값(Atomic Value)으로만 구성되도록 분해합니다. 반복 그룹이 없고, 중복되는 속성이나 속성 그룹은 별도의 테이블로 분리합니다.
  • 제2정규형(2NF): 제1정규형을 만족하면서, 기본키가 아닌 속성들이 기본키 전체에 대해 완전 함수적 종속성을 가지도록 분해합니다.
  • 제3정규형(3NF): 제2정규형을 만족하면서, 비기본키 속성들이 다른 비기본키 속성에 종속되지 않도록 합니다.
  • 추가 정규형: 보이스-코드 정규형(BCNF), 제4정규형(4NF), 제5정규형(5NF) 등이 있으며, 실무에서는 주로 제3정규형까지 진행합니다.

5. 반정규화(Denormalization)

반정규화는 중복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 장점:
    • 조인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검색 쿼리가 간단해집니다.
    • 빠른 읽기 작업의 수행으로 인해 검색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단점:
    • 중복 저장으로 인해 더 많은 스토리지가 필요합니다.
    •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쓰기 작업에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데이터 분석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통찰력과 추세를 제시하는 과정입니다. 잘 분석된 데이터는 조직이 자신있게 의사 결정을 내리고, 조직에 가치를 추가하며,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1. 데이터 분석 단계

  1. 문제 정의: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필요한 데이터를 정의합니다.
  2. 데이터 수집: 공공 데이터, 센서 데이터, SMS/REST API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3.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를 정규화하고, 이상치, 누락된 값(결측치), 잘못된 값 등을 처리하며 데이터 형을 일치화합니다.
  4.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데이터의 특성을 확인하고 파악합니다.
  5. 모델링: 데이터에 적합한 모델을 구축하고 학습합니다.
  6. 평가: 모델의 성능을 평가합니다.
  7. 결과 해석: 분석 결과를 해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8. 배포 및 보고서 작성: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문서화합니다.

2. 데이터 분석 도구

  • 통계 분석용 도구: Excel, R, SAS, SPSS 등
  •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도구: Power BI, Tableau 등
  •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 도구: Python, SQL 등

3. SQL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추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데이터 필터링 및 정렬: 필요한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정렬합니다.
  • 집계 및 그룹화: 데이터를 집계하고 그룹화합니다.
  • 조인 및 서브쿼리: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결합하거나 서브쿼리를 사용합니다.
  • 데이터 변환 및 처리: 데이터의 변환 및 처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 데이터 시각화: 시각화 준비를 위한 기반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4. 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소스

  • 내부 데이터: 조직 내에서 생성된 데이터, 입력 실수를 고려해야 하며 품질 검증이 필요합니다.
  • 외부 데이터: 웹 스크래핑, 사용자 생성 콘텐츠, 업계 데이터, 연구 데이터, 애널리틱 데이터 등.

 

728x90

'PYTHON-B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30일차_게시판 만들기2  (0) 2024.08.14
#파이썬 29일차_게시판 만들기1  (0) 2024.08.13
#파이썬 27일차_MYSQL4  (0) 2024.08.09
#파이썬 27일차_MYSQL4  (0) 2024.08.08
#파이썬 27일차_MYSQL3  (0) 2024.08.07